티스토리 뷰
목차
트럼프 대통령, 상호 관세 부과 방침 재확인… 글로벌 무역 전쟁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미국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는 3월 12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되며, 캐나다산 목재와 낙농제품에 대한 250% 관세는 4월 2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철강·알루미늄 관세 시행… 캐나다산 제품은 4월 2일까지 유예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가 12일부터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캐나다산 목재와 낙농제품에 대한 250% 관세는 4월 2일까지 유예된 상태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외국산 제품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미국산 제품은 더욱 저렴해질 것입니다”라며 미국 내 제조업과 농업이 이번 조치로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상호 관세 정책을 통해 미국 내 농부, 목장주, 어부들의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 예고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4월 2일부터 모든 것이 상호적이 된다.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는 것을 우리도 동일하게 적용할 것”이라며 관세 부과 정책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캐나다 및 멕시코에 대한 관세 적용을 한 달간 유예한 이유에 대해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전환 기간을 주기 위함”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우리는 미국의 부를 되찾아오고 있으며, 이것은 큰 변화이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혀 관세 조치가 장기적인 경제 정책의 일부임을 시사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가 미국 경제에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주식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과 향후 전망
미국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 대해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10일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며, 캐나다 역시 상호 대응책을 검토 중입니다.
이러한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일축하며 “미국 경제는 탄탄하며, 글로벌 관세 인하 효과로 인해 장기적으로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내 물가 상승과 기업 부담 증가로 인해 소비 위축 및 경기 둔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의 반응
미국 내 기업과 소비자들은 이번 관세 정책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부 제조업체는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조치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대다수 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제품 생산 비용이 증가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 건설 산업 등은 원자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비자들은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식료품과 생활용품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일부 품목의 공급 부족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과 대응책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4월 2일 이후 추가 관세 조치가 있을 경우, 미국과 교역 관계를 맺고 있는 각국이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중국, 캐나다, 유럽연합(EU) 등 주요 경제국들은 미국의 조치에 맞서 보복 관세를 고려하고 있어 무역 전쟁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으며,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동맹국들과의 협상을 통해 무역 갈등을 완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이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아니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지 앞으로의 상황을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이슈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4%↓ 테슬라 15%↓… 트럼프 발언에 글로벌 금융시장 휘청 (0) | 2025.03.11 |
---|---|
세종시 목욕탕 감전사고, 업주 "제조사 책임" vs 유족 "사과도 없어" (0) | 2025.03.10 |
홈플러스 사태의 현재와 미래, 협력업체·소비자 신뢰 회복 가능할까? (0) | 2025.03.09 |
퍼스트 스탠드 2025년 첫 대회 경기 (0) | 2025.03.09 |
경기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권영세 비대위원장 방문 (0) | 2025.03.06 |